본문 바로가기
농사

김장무 심는시기 재배방법

by 헬스매니아 2025. 8. 18.
반응형

김장무 재배는 8월 중순부터 9월 중순 사이에 파종하여 약 3개월간 키운 후 11월 말경 수확하는 것이 기본이며, 성공적인 재배를 위해서는 밭 준비부터 시작해서 적절한 거름주기, 파종, 솎음, 북주기, 추비 등의 단계적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뿌리채소 특성상 깊은 경운과 배수가 좋은 토양 조성이 핵심이며, 붕소 결핍 방지와 적기 수확이 품질 좌우의 관건입니다.

 

김장무 심는시기 재배방법
김장무 심는시기 재배방법

 

김장무 심는시기 재배방법: 밭 준비 및 토양 관리

토양 개선 및 밑거름

김장무 밭 만들기는 파종 한 달 전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석회와 황 성분이 포함된 비료를 넣고 최소 2주간 기다린 후, 완숙된 퇴비를 투입합니다. 황 성분은 무의 맛을 좋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반드시 포함시켜야 합니다.

10㎡ 기준 거름주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밑거름: 퇴비 10kg, 소석회 750g (밭갈기 2~3주 전)
  • 이랑 만들 때: 요소 130g, 용성인비 130g, 염화가리 90g, 붕사 20g
  • 웃거름: 파종 후 20~30일에 요소 100g, 염화가리 80g

김장무 심는시기 재배방법: 이랑 만들기

무는 깊이 뿌리를 내리는 특성이 있어 이랑을 만들 때 깊이 갈아주어야 합니다. 뿌리가 자라는 과정에서 돌을 만나면 갈라진 무가 되므로 토양을 부드럽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1줄 재배: 이랑 너비 75cm
  • 2줄 재배: 이랑 너비 100~120cm
  • 이랑 사이: 30~40cm
  • 포기 간격: 30cm

물빠짐이 좋은 밭에서는 2줄 재배를, 배수가 좋지 않은 땅에서는 1줄 재배를 권장합니다. 흑색 비닐 멀칭을 하면 토양 온도 유지와 잡초 방지에 효과적입니다.

김장무 심는시기 재배방법: 파종 및 초기 관리

파종 방법

무는 점파로 파종하며, 파종 간격은 60×25cm 또는 60×30cm입니다. 씨앗을 뿌리는 깊이는 2~3cm로, 씨앗 크기의 2~3배 정도로 덮어줍니다. 한 구멍에 1~3립을 파종하고, 발아까지는 4~7일 정도 소요됩니다.

파종 후에는 상토로 덮어주고 양쪽 흙을 살짝 덮어 비가 와도 씨앗이 파이지 않도록 보호합니다. 파종 직후 물을 주어 발아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솎음 작업

1차 솎음은 본엽이 1장 정도일 때, 2차 솎음은 본엽이 3장 정도일 때 실시합니다. 한 구멍에 1립만 파종한 경우에는 솎음이 불필요하지만, 2립 이상 파종했다면 건강한 개체만 남기고 나머지는 제거합니다.

중간 관리

북주기

솎음이 끝나면 무가 제대로 설 수 있도록 주변 흙을 덮어 북을 주어야 합니다. 북주기는 2번 정도 실시하며, 잎이 나오는 밑부분까지만 흙을 돋아줍니다. 이를 통해 바람이 불어도 무가 넘어지지 않고 뿌리가 똑바로 자랄 수 있습니다.

추비 관리

추비는 20일 간격으로 2번 정도 실시합니다. 1차 추비는 파종 후 20일경(1차 솎음 후), 2차 추비는 그로부터 20일 후에 실시합니다. 발아 상태가 양호하면 솎음, 북주기, 1차 추비를 한꺼번에 작업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물 관리

파종 직후와 덥고 건조한 날이 지속될 때는 일주일에 한 번 정도 물을 주어야 합니다. 특히 초기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토양 수분이 필요합니다.

 

김장무 심는시기 재배방법: 중요한 주의사항

붕소 결핍 방지

김장무와 배추는 붕소 성분이 꼭 필요합니다. 붕소가 결핍되면 뿌리와 속이 흑갈색으로 변하고 심하면 속이 비게 됩니다. 따라서 파종 전 붕사 비료를 반드시 넣어주어야 합니다.

온도 관리

김장무는 영하 1도 이하의 저온에 노출되면 바람이 들고 식감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또한 12℃ 이하의 저온을 일주일 이상 연속으로 겪으면 추대하여 상품가치가 없어지므로 적기에 수확해야 합니다.

해충 방제

파종 시 토양 살충제를 함께 넣어 벼룩벌레 등의 해충을 방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초기 생육 단계에서 해충 피해를 받으면 생육이 크게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계별 관리를 통해 굵고 맛있는 김장무를 성공적으로 재배할 수 있으며, 특히 토양 준비와 붕소 공급, 적절한 북주기가 품질 좋은 무 생산의 핵심입니다.

 

0123456789
김장무 심는시기 재배방법

반응형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