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

땅콩 심는시기 (멀칭 TIP)

by 헬스매니아 2025. 8. 18.
반응형

땅콩은 4월 중순~5월 중순에 심는 것이 적합하며, 비닐멀칭과 2~3회 북주기, 칼슘 및 인 공급, 가지치기, 잡초·병해 관리 등 종합적 작업을 통해 수확량을 최대 40% 이상 늘릴 수 있습니다. 심는시기 결정부터, 토양 만들기, 꽃 이후 관리까지 각 단계마다 세심한 작업이 필요합니다.

 

땅콩 심는시기
땅콩 심는시기 (멀칭땅콩 심는시기 TIP)

땅콩 심는시기: 1. 심는시기와 지역별 특성

  • 남부지방: 4월 하순~5월 상순에 심으면 적기입니다.
  • 중부지방: 5월 상순~5월 중순에 심습니다.
  • 피복재배(멀칭): 4월 초~5월 초에 심을 수 있고, 무피복보다 10~15일 빨리 심기 가능합니다.
  • 모종재배: 씨앗 대신 모종으로 심는 경우 5월~6월 초까지 가능합니다.

땅콩 심는시기: 2. 토양 만들기와 파종 준비

  • 밭 만들기: 두둑은 70cm, 고랑은 30cm, 높이는 20cm 이상으로 조성해 배수에 신경 써야 합니다. 심는 간격은 20cm로 3줄 재배가 가능합니다.
  • 씨앗 준비: 껍질째 보관한 씨앗을 사용하면 발아율이 높으며, 파종 전 하루 정도 물에 불려두면 좋습니다.
  • 파종 방법: 한 곳에 2~3개씩 점파종 후 3cm 두께로 흙을 덮습니다. 모종의 경우 본잎 2~3장일 때 2포기씩 정식하는 것이 좋습니다.
01234567891011121314
땅콩 심는시기 (멀칭 TIP)

 

 

땅콩 심는시기: 3. 멀칭(비닐피복)과 수확량 증대

  • 멀칭 효과: 피복재배는 토양 보온으로 꽃 개화가 15일 빨라져 생육기간이 충분해지고, 수확량이 40% 이상 증가합니다. 투명 또는 흑색 유공비닐(두께 0.01mm)을 사용하는 것이 자방병이 땅속으로 침투하기 좋습니다.
  • 피복재배 수확량: 300평당 293kg 수확 가능(무피복 206kg 대비).

땅콩 심는시기: 4. 북주기(흙 덮기) 관리

  • 가장 중요한 작업: 꽃이 피고 자방병이 땅속으로 들어갈 때 멀칭비닐을 찢고, 골 아래에서 위로 북주기를 해줍니다. 이 작업만으로 수확량이 현저히 올라갑니다.
  • 실시 시기: 개화기에 맞춰 2~3회 반복 실시합니다.
  • **흙 덮기는 자방병이 토양에 잘 들어가 꼬투리 형성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합니다.

땅콩 심는시기: 5. 영양분(칼슘·인·칼륨) 관리

  • 밑거름: 석회비료를 충분히 시용하고, 개화 2~3주 후 석고가루 또는 과인산염(10~15kg/에이커) 추비를 주세요.
  • 엽면살포: 잎에 2% 과인산염 용액을 살포하면 생육과 꼬투리 발육이 좋아집니다.
  • 칼륨 공급: 곁가지가 자라기 시작할 때 칼륨 성분이 많은 비료를 주세요.
  • 주의사항: 질소 비료 과다 사용 시 꼬투리가 잘 맺히지 않습니다.

땅콩 심는시기: 6. 가지치기 및 적심

  • 병든 가지와 약한 가지 제거: 꽃이 피지 않거나 병든 가지는 솎아주고, 키가 큰 묘목은 둥지당 4개, 약한 묘목은 3개 가지만 남깁니다.
  • 원줄기 제거: 개화 10~15일 후 원줄기를 제거해서 측가지 발달을 촉진하세요.
01234567891011
땅콩 심는시기

 

 

땅콩 심는시기: 7. 잡초와 병해 관리

  • 잡초 제거: 멀칭비닐의 구멍 사이사이 잡초를 수시로 제거합니다. 잡초 방치는 생육 저해, 수확량 감소의 직접적 원인이 됩니다.
  • 병해 예방: 7월 장마철 등에는 흰가루병 등 각종 병해 예방을 위해 통풍에 주의하고, 필요시 약제를 사용하세요.

땅콩 심는시기: 8. 수확시기와 방법

  • 적정 수확시기: 심은 후 120~150일이 지난 9월 중순~10월 초순에 수확합니다. 꼬투리 겉이 그물무늬로 변했을 때가 수확 적기입니다.
  • 주의사항: 첫서리 오기 전까지 반드시 수확을 마쳐야 합니다.

종합적으로 멀칭과 북주기 관리, 영양분 보충, 잎·가지 관리, 병해·잡초 방지가 땅콩 농사에서 수확량을 높일 수 있는 핵심 요령입니다. 각 단계별 작업을 꼼꼼히 실시하면 다수확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01234567891011121314
땅콩 심는시기 (멀칭 TIP)

 

반응형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